오늘은 2024년 추석 적정한 조카 용돈 , 부모님 용돈, 할아버지 용돈은 얼마나 되는지 알아봅니다. 물론 용돈이라는 것은 마음이고, 각자 사정에 따라 편차가 있겠지만, 그래도 전체적인 평균을 알면 결정이 더 쉬워지잖아요?? Data로는 제 개인적 경험, 2024년 추석 삼성카드 자사회원 5백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 2024년 설날 실시했던 설문들을 바탕으로 하겠습니다.

부모님
우선 저는 30살, 회사 입사한지 얼마 안 된 사회 초년생이구요. 부모님은 추석 용돈 따로 안 드려요 😦
ㅠㅠ . 연초에 용돈을 따로 드리기 때문에... 그걸로 ㅎㅎ
2024년 추석을 앞둔 삼성카드 설문조사에서는 올해 설날에 자녀가 부모에게 드리려는 용돈은 20만원이었습니다.(전체의 36.2%) 아마 부모님 통합이겠죠??? 나머지 항목들 결과는 다음과 같네요. 이어 10만원(26.6%), 30만원(23.5%), 30만원 초과(9.7%), 10만원 이하(1.9%)
조카들(+ 이모,고모, 삼촌)
여태 이모, 고모, 삼촌 등 친척 어르신들께 용돈을 받았다고 해도 사회 초년생이 명절마다 용돈을 챙겨드리기는 현실적으로 어렵습니다. 저보다 돈도 더 많으시기두 하구요 ^^ 그래서 대신 조카용돈, 조카들 세뱃돈으로 퉁 치는 경우가 많은 거 같아요.
부모님 용돈과 달리 조카 용돈은 거의 의견이 일치합니다. 저도 그렇고 2024년 설날 설문결과들도 비슷하네요. KB국민카드는 2024년 설날을 맞이해 고객 패널 '이지 토커' 400여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미취학 아동은 '1만원', 초등학생 '3만~5만원', 중고등학생 '5만~10만원', 성인은 '10만원' 정도가 적정하다고 답을 얻었습니다.
2024년 설날을 맞이해 롯데멤버스에서 자체 리서치 플랫폼 라임(Lime)을 통해 전국 20대 이상 남녀 2000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도 마찬가지였습니다. 유아 및 초등학생에게는 ‘1~3만원(37.1%)’, 중학생에게는 ‘3~5만원(39.6%)’, 고등학생과 대학생에게는 ‘5~10만원(각 45.8%, 37.2%)’, 취업 전 성인과 결혼 전 성인에게는 ‘10~20만원(각 33.8%, 31.6%)’ 정도를 생각한다고 답변했습니다.
만약 조카들이 너무 많다면 더 여기서 줄여야겠죠. 예를 들면, 초등학생 1만 원, 중학생 2만 원, 고등학생 3만 원, 대학생 5만원으로요.
할머니, 할아버지
할머니, 할아버지 등 조부모님은 대부분 각각 10만원 정도 드리는 거 같습니다. 안 드린다는 곳도 많구요.
지금까지 2024년 추석 적정용돈에 관해 알아보았습니다. 하지만 적정용돈이니 뭐니 해도, 가장 중요한 건 본인의 마음인 거 아시죠?? 챙겨주고 싶은 대상, 그리고 얼마나 챙겨주고 싶은 지의 마음을 평균과 비교해서 결정하시면 될 거 같습니다.!!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3] 사회 초년생 설날 추석 적정한 조카용돈/ 부모님용돈은 얼마?? (0) | 2023.01.21 |
---|---|
삼성증권 mPOP 앱 연금저축계좌 MMF 매도 하고 ETF 매수 하는 법(매수금액 0원일 때)(최신 2022/2023) (0) | 2022.11.21 |
파킹통장 금리 비교 순위 TOP 7 추천(1금융권, 저축은행)<2022년 12월 업데이트> (0) | 2022.11.10 |
청년희망적금 실수로 미납 했다면?? 자동이체 추천일은?? (0) | 2022.11.0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