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청년희망적금 청년도약계좌 갈아타기 중복 된다??[청년도약계좌 가입대상자 조건 혜택 ]

by &%^##$^%^! 2023. 3. 13.
Table of Contents

1. 청년도약계좌란?? 어떤 혜택??

2. 청년도약계좌 가입 대상은?? 공무원도?? 대학생도??

 

3. 청년희망적금, 청년도약계좌 중복으로 할 수 있을까??[갈아타기]

 

 

 청년도약계좌란?? 어떤 혜택??

 

청년도약계좌는 2023년 6월 출시되는 정부상품으로 가입자가 만기 5년으로 매월 70만원 한도 내에서 자유롭게 납입 할 수 있는 적금상품입니다.

 

연간 최대 70만원씩 5년간 저축할 경우 이자비과세, 정부지원을 모아 5000만원을 수령할 수 있습니다. 시중 적금 상품으로 계산해보니 약 연 8.8% 이율의 적금 상품이네요. 꼭 하는 걸 추천드립니다. 

 

혜택은 2가지입니다.

1) 정부기여금 최대 6%(매달 최대 2만 4천원) 

2) 은행 이자(금리 미정) 비과세

 

청년도약계좌 개인소득별 기여금

예를 들어 개인소득이 3600만원인 경우 매달 50만원만 청년도약계좌에 납입하더라도 4.6%의 매칭비율을 적용해 매달 2만 3천원의 정부기여금을 받는거죠. 당연히 적금은행이자는 비과세로 받구요.

 

은행 이자인 경우 가입 후 3년은 고정금리, 이후 2년은 변동금리를 적용합니다. 

 

 

 청년도약계좌 가입 대상은?? 공무원도?? 대학생도??

 

청년도약계좌 가입 기준은 총 3가지 충족해야

 

1) 가입연령: 만 19~34세

 

2) 개인소득: 총급여 기준 6,000만원 이하: 정부기여금 지급·비과세 적용

                    총급여 기준 6,000~7,500만원: 정부기여금 지급없이 비과세만 적용

 

3) 가구소득 기준: 가구소득 중위 180% 이하

 

 

 

여기서 180% 적용해야 하니까

 

1인가구: 월 374만 206원(연봉 4488만원)

2인가구: 월 622만 1079원(연봉 7465만원)

3인가구 : 월 798만 2669원(연봉 9579만원)

4인가구: 월 972만 1735원(연봉 1억 1666만원)

5인가구: 월 1139만 5238원(연봉 1억 3674만원)

 

요렇게 나옵니다. 본인이 속한 가구 인원을 확인해보시고 적용해보세요. 예를 들어 독립하시고 1인 단독가구시면 연봉 4500만원 이하실 경우 세번째 조건이 성립하시는거죠!

 

위 3가지 기준(가입연령, 개인소득, 가구소득)를 모두 충족하는 경우에만 청년도약계좌 가입대상이 됩니다. 그 외 별도 조건은 없으니 공무원, 대학생분들도 충분히 가능합니다!! 

 

대신 대학생분들일 경우 알바를 하시더라도 개안소득 증빙이 되어야 겠죠.

 

군인은 지원 불가합니다. 군인은 군적금 "장병내일준비적금"이 있기 때문에 추가 중복지원으로 여기는 듯 하네요. 단, 방위업체 근무 시에는 지원 가능하다고 합니다.

 

 * 연령계산 시 병역을 이행한 경우 병역이행기간(최대 6년)은 연령 계산시 뺀다

    ex) 29세 24개월 공군 군복무를 마쳤다면 27세로 계산된

 

*  직전 3개년도 중 1회 이상 금융소득(이자소득과 배당소득의 합)이 2,000만원을 초과할 경우 가입이 제한됩니다. 

 

 

 청년희망적금에서 청년도약계좌로 중복으로 할 수 있을까??[갈아타기]

 

원칙적으로 청년희망적금과 청년도약계좌  동시 가입은 불가능합니다.

 

다만 청년희망적금과 청년도약계좌 갈아타기는 가능합니다. 청년도약계좌가 올해 한 번만 하고 안 하는 사업이 아니기 때문에(매달 신청받을 예정) 청년희망적금을 만료까지 채워서 지원금 다 받고 또 청년도약계좌로 넘어오면 매우 좋은 기회가 될 거 같습니다.

 

청년도약계좌는 청년 지원상품과 연계가 될 수 있게 설계가 되었기 때문에 웬만한 다른 지원 상품들과 동시가입이 허용됩니다.

 

 * 청년내일저축계좌, 청년(재직자)내일채움공제, 지자체 상품 등

 

다만 사업목적이 유사한 청년희망적금은 동시 가입은 불가능하며 만기 후 청년도약계좌 순차가입을 허용합니다.

 

댓글